마음공부/기적의 도서관 썸네일형 리스트형 초당 닭살이와 부헝은나와 함께 자연의 끊임없는 기적을 느끼는 것 같았다.목욕탕의 샤워처럼 바위에서 바위로 떨어지는 계곡 물은 나의 혈관에서처럼그들의 혈관에서도 약동하였고, 또 그들은 나와 마찬가지로 구름과 나무들을머리에 이고 살았다. 즐거움, 기쁨 그리고 배짱 등 그들의 가슴에는 없는 것이하나도 없었다.연례 행사인 제사 때에는 집집마다 소, 돼지 또는 개를 잡아서 먼저 유령들에게바친 다음 유령들이 남긴 것을 먹었다. 한국인들은 개고기를 먹는데, 그 고기는매우 맛이 좋은 것으로 여겨졌다. 내 생각으로는, 개고기를 먹는 것은 옳지못한 일이다. 개는 매우 영리하고 충성스럽기 때문이다.마찬가지로, 쇠백장이 제때에 일러주기만 했어도 나는 내가 기르던 소의 등심고기도먹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 집에서는 기르던 개를 잡아먹.. 더보기 싯다르타 이렇게 오랫동안 정원 입구에 서 있은 후 싯다르타는 깨닫게 되었다.자신을 이 장소까지 몰고 온 그 갈망은 어리석은 것이었음을.자기로서는 아들을 도와줄 수 없으며, 아들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그는 마음속 깊이, 하나의 상처처럼 도망친 아들에 대한 사랑을 느꼈다.그리고 그와 동시에 그 상처는 자신을 아프게 하기 위해 주어진 것이 아니며,상처가 꽃이 되어 찬연하게 빛나게 될 것임을 느꼈다."모든 진리는 그 반면(反面)도 똑같이 진리라는 것일세!따라서 진리는 그것이 단면적일 때에만 발음이 되어 나오고 언어로 쌀 수 있네사색할 수 있고 언어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것은 단면적인 것이요, 반쪽이요,전체가 못 되고 원(圓)이 못 되고 단일의 것이 못 되네, 그러니까 지존 고타마께서세계에 대하여 가르치실 때에.. 더보기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다산은 말한다.공부에 끝이 있는가?공부에는 끝이 없다. 마음을 푹 담가 한 우물을 들이파라.살펴보고 따져보고 또 살펴보고 따져보라. 이쯤하면 되겠지. 그런 말은 하지 마라.이 정도면 괜찮겠지. 그런 것도 없다. 장벽을 만나거든 네 마음속으로 걸어들어가라.잠시도 놓지 말고 석연하게 투득(透得)하라.그래야 네가 하는 말의 주인이 될 수 있다.다산은 말한다.한 번 지나간 버스는 세울 수가 없다.기회는 불시에 찾아온다. 두 번 오지 않는다.소 잃고 나서 외양간 고치지 말고, 미리 헤아려 대비하라.변죽만 울리지 말고 핵심을 찔러라.맥락을 읽고 행간을 읽어라. 글을 일지 말고 마음을 읽어라.껍데기만쫓지 말고 알맹이를 캐내라다산은 말한다.메모하고 정리하라.그리고 그 내용을 글로 써서 질문하고 토론하라.공부는 토론을 .. 더보기 계몽주의 교육-이론과 실제- 17~18세기 계몽교육의 특징은 대략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차원으로 정리될 수 있다.첫째, 계몽의 시대에 서구의 모든 국가들은 한편으로는 종교성직자들고 귀족계급들의 안정질서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종교적이고 보수적인 교육을 지속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이 구상하는 정치적-경제적 목적을 달성하는 도구로 교육을 활용할 수 있는절대권력을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았다.둘째, 모든 사람들에게 동등한 교육의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는 원칙에의 요구는 비록 실천의 차원에서는 유효하지 못했지만, 공교육제도로서의 학교제도를 합법화해야 한다는 합리적 요청을 최초로 부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는 의무교육제도와 수업의무의 개념이 활성화된 시점이기도 하다.셋째, 계몽의 시대에는 전통적 고전과 인문수업을 중심으로 하는 이론교육이..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