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시험 준비 2
9. Crits의 포괄적 직업상담의 3단계 상담과정을 쓰시오.(크리츠는 진단의 명문)
. 진단의 단계 : 검사와 상담을 통한 자료 수집
. 명료화 또는 해석의 단계 : 의사결정 과정에 방해되는 행동을 확인하여 함께 대안을 탐색
. 문제해결의 단계 : 내담자가 문제를 확인하고 참여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행동을 취해야하는지 결정
10. 내담자와의 초기면담 수행시 상담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 5가지를 쓰시오.
(초기면담은 가기명비 필요적 )
. 면담 시작전에 가능한 모든 사례 자료 검토하기
. 내담자의 직업상담에 대한 기대를 결정하기
. 내담자의 초기목표 명확히 하기.
. 비밀유지에 대해 설명하기
. 필수질문 확인하기
. 요약하기
. 적절한 때에 상담관리자나 다른 직업상담사에게 피드백 받기
11. 상담초기에 상담진행방식에 대한 구조화에서 이뤄져야 할 내용들을 설명하시오
(구조화는 비밀역할의 규칙과 시간이다)
. 비밀보장 한계 : 상담내용은 비밀이 유지되나, 특수한 상황이나 불가피한 경우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타인
에게 알릴 수 있음 설명
. 상담자와 내담자의 역할 : 상담자와 내담자가 각기 해야 할 일에 대해서 설명
. 내담자가 지켜야 할 규칙 : 내담자가 지켜줘야 할 일과 해서는 안되는 일 설명
. 상담의 시간과 장소 등 : 상담의 시간과 장소, 회기, 유료인 경우 그 비용 등에 대해서 설명
12. 직업상담의 기법(상담기술) 5가지를 설명하시오.
(직업상담의 기법은 경감반면에 명석한(환) 요약필수!)
. 적극적 경청 : 적극적으로 주목하는 것으로 말의 내용뿐만 아니라 몸짓, 표정 등 감정까지 파악
. 공감 : 내담자의 감정에 대하여 같이 느낌
. 반영 : 내담자의 태도, 행동, 감정의 내용을 동일한 의미의 다른 참신한 말로 덧붙여 말해 줌
. 직면 : 내담자의 행동, 태도, 감정의 불일치를 경험하고 내담자에게 그것을 말해주는 것
. 명료화 : 내담자의 말속에 있는 불문명한 측면을 상담자가 분명하게 밝히는 반응
. 해석 : 내담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문제를 볼 수 있도록 사건의 의미를 설명
. 환언 : 내담자 말의 내용을 동일한 의미의 다른 말로 바꾸는 것
. 요약 : 매회 상담이 끝날 무렵 내담자의 말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
13. 개방형 질문과 폐쇄형 질문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 개방형 질문(개방은 자유롭게 시야를 열어 한계가 있다)
. 자유롭게 응답하도록 ‘무엇을, 어떻게’로 시작하여 묻는 질문
. 내담자로 하여금 시야을 넓히도록 한다.
. 바람직한 촉진관계를 열어 놓는다.
. 통계분석에 한계가 있다
- 폐쇄형 질문(폐쇄는 단순하게 시야를 좁히고 닫아 다양하다)
. 대답의 내용은 미리 범주화 하여 ‘예, 아니오’로 단순히 말하게 하는 질문
. 내담자로 하여금 시야를 좁게 만듬
. 바람직한 촉진관계를 닫는다
. 다양한 통계분석 가능
14. 상담을 위한 면접에서 기본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인 ‘해석’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제한점을 2개이상 기술
(해석은 준비가 되고 스스로 하며 한가지씩만)
.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참모습을 직면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사용
. 상담자가 일방적으로 해석하지 않고 내담자 스스로 해석할 수 있도록 돕는다.
. 한번에 여러 가지 해석을 하지 않는다.
15. 저항의 의미와 유형을 설명하시오.(저항 유형 침대무지속)
. 의미 : 상담의 진전을 방해하고 상담자에게 협조하지 않으려는 내담자의 무의식적 행동
. 유형 : 침묵, 대답회피, 무단결석, 지각, 약속어김